신노년세대 은퇴, 일자리 수요급증...2035년 노인일자리 158만개 필요

김남기 기자
  • 입력 2020.01.21 10:30
  • 수정 2020.01.21 10:3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9년 노인일자리사업 수요는 117만 명이며, 이중 신노년세대는 43만8천명이다. 2035년 약 158만명까지 일자리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신노년세대는 1955~1963년생인 베이비붐 세대로 현재 56~64세를 말한다.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은 '신노년세대 노인일자리 수요 추계'에 따르면, 신노년세대의 은퇴는 올해 727만명으로 시작해 2024년 전체 은퇴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는 신노년세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화와 함께 노동시장의 기회구조 변화, 노인일자리정책 욕구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진행됐다.

분석은 신노년세대 가운데 향후 일자리사업 참여 가능성을 가진 '잠재적' 수요집단과, 이 중에서도 참여 확률이 높다고 추정되는 '직접적' 수요집단을 구분해 진행됐으며 근로능력, 건강수준, 소득수준 등이 고려됐다.

그 결과 전체 신노년세대 중 약 36.5%가 잠재적 수요집단으로 나타났다. 일자리사업에 참여 확률이 보다 큰 직접적 수요는 전체의 약 10.5%를 차지했다.

직접적 수요집단은 상대적으로 교육수준이 높고 건강하다는 점에서 신노년세대의 특성과 유사했지만, 여성 비율이 높고 자가 거주 비중이 낮은 등 경제적 특성에서는 신노년세대의 평균에 못미쳤다.

노인일자리와 인구의 중장기적 변화를 결합해 분석할 경우, 직접적 수요는 ▲2020년 123만9000명 ▲2025년 141만8000명 ▲2030년 153만8000명 ▲2035년 158만2000명으로 지속 증가한다. 증가세가 꺾이는 지점은 2040년(153만5000명)이다.

보고서는 신노년세대가 70대가 되는 2035년까지 일자리사업 진입 세대 수, 신노년세대의 특성별 규모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사업 유형별 적정규모도 분석했다. 여기에는 신노년세대의 소득수준, 역량(교육수준), 근로생애(주된 일자리 여부, 종사산업) 등이 구분 기준으로 작용했다.

그 결과 '역량개발 일자리'에 대한 참여 확률이 32.5%로 가장 높았다. 이는 소득 수준은 낮지만 역량 수준이 높고, 주된 일자리 경력은 적은, 준전문적 혹은 특정 기술을 활용하는 일자리다.이는 단순 반복 활동을 통해 소득을 보장하는 '참여수당 일자리'의 참여 비율(15.0%)의 2배 이상의 수치다.

사업에 우선적으로 참여할 것으로 추측되는 대상은 저소득이지만, 고학력일수록 건강할수록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수린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연구조사센터 선임연구원은 "2035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할 노인일자리사업 수요를 고려했을 때 노인일자리사업량 확대는 불가피하다"며 "수요충족률 80%를 목표로 할 경우 2025년까지 100만개의 노인일자리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은퇴가 본격화되는 만큼 노년 일자리의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신노년세대 다수는 퇴직시점과 연금개시 연령 간 정책공백이 있어 퇴직 후 일자리 확보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현재 베이비붐 세대의 전체 퇴직연령은 49세, 남성을 기준으로 볼 때 약 52세다. 연금 혜택을 누릴 수 있는 나이가 61세라는 점을 감안하면 연금가입자는 8년, 비가입자는 약 12년의 공백이 발생하게 된다.

이 같은 지점에서 연구진은 교육수준이 높고, 건강한 신노년세대 특성을 고려해 새로운 일자리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김 연구원은 "신노년세대는 건강, 교육수준 등 역량 측면에서 현노인세대와는 다른 특성을 보인다"면서 "기존에 단순 노무에 적은 수당을 지급하는 소극적 재정지원 일자리로는 신노년세대의 다양한 욕구와 역량을 반영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 노인일자리사업의 재정 대부분은 중앙정부에서 지자체로 할당해 예산을 매칭하는 방식으로 전달되고 있다"며 "수요자의 욕구를 반영한 노인일자리사업은 현노인세대에게는 요원한 과제였을 수 있으나 신노년세대가 노년기에 진입하는 현시점에는 실현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김 연구원은 신노년세대의 능동적 참여를 촉진하는 '적극적'이고 '쌍방향적'인 재정을 토대로, 민간·공공영역의 일자리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융합'(convergence) 일자리사업으로 재정의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저작권자 © 이모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