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7명, ‘노인’ 관련 혐오 표현 접해봤다

윤철순 기자
  • 입력 2021.09.02 15:2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권위, 코로나19 이후 혐오·차별 증가
정치인, 언론 등이 혐오 표현 부추긴다
혐오 표현, 뉴스기사 댓글 및 유튜브 순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이모작뉴스 윤철순 기자] 국민 10명 중 7명은 온·오프라인에서 노인 관련 혐오 표현을 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절반 이상(59.5%)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우리 사회에 혐오와 차별이 증가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혐오와 차별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정치인이나 언론이 혐오를 부추길 수 있는 표현이나 보도를 자제해야 한다는 응답(90.3%)이 가장 많았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 5월 20∼25일 전국의 만 15세 이상 1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혐오 표현 인식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2.8%포인트)‘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응답자들이 접한 가장 많은 혐오 표현은 '여성'으로 총 80.4%를 나타냈다. 다음은 '특정 지역 출신(76.9%)'이었고, '페미니스트'(76.8%)', '노인(72.5%)' 등의 순이었다.

혐오 표현 대상이 남성이었다는 응답도 72.0%나 됐다. 이어 성 소수자(71.5%), 장애인(67.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오프라인 실생활에서는 노인(69.2%)이라고 답한 혐오 경험자가 가장 많았다. 특정 지역 출신(68.9%)과 여성(67.4%)은 비슷한 비율로 그 뒤를 이었다. 페미니스트, 장애인, 성 소수자도 모두 60%를 웃돌았다.

혐오 표현의 원인으로는 '우리 사회의 구조적 차별(86.1%)', '일자리 등 경제적 어려움을 약자에게 표출(82.4%)', '언론의 보도 태도(79.2%)' 등이 꼽혔다. 특히 '정치인 등 유명인이 혐오 표현을 써서 문제라고 느끼지 않게 됐다(76.3%)'는 응답은 2019년 조사 결과(49.4%)보다 비율이 급등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들은 혐오 표현 문제가 오프라인 실생활(67.2%)보다 온라인상(79.3%)에서 더 심각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혐오 표현을 접한 곳은 인터넷 뉴스 기사·댓글(71.0%), 유튜브 등 개인 방송(53.5%), 커뮤니티 게시판(47.3%), 사회관계망서비스(SNS)(35.9%) 등이었다.

또 온라인 혐오 표현을 본 10명 중 7명(73.5%)은 문제가 있는 표현이라는 것을 알지만 대응하지 않았다(40.2%)거나 피하게 됐다(33.6%) 등 소극적으로 대처했다.

혐오 표현에 반대 표시를 하거나 신고했다는 응답은 각각 17.5%와 4.8%에 불과했다. 대응하지 않은 이유로는 '조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것 같아서'(43.5%), '대처 방법을 몰라서'(20.0%) 등이었다.

해소 방안에 대해서는 '학교 내 혐오차별 예방 교육 확대'(89.9%), '혐오차별 인식개선 교육·캠페인 강화(89.4%)', '악의적 혐오 표현 사법 조치(86.1%)', '정부 차원의 종합적 대책 수립(86.0%)' 등의 정책에 동의한다고 응답했다.

응답자들은 향후 혐오와 차별로 인해 '사회적 갈등이 더 심해지고(90.2%)', '범죄로 이어질 수도 있으며(87.7%)', '소수자 표현의 자유가 위축되고(79.5%)', '차별 현상이 굳어질 것(79.2%)'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이모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