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고령화' 문제 갈수록 깊어가는데 그 해결책은?

김경동 기자
  • 입력 2022.04.13 17:05
  • 수정 2022.04.13 17:0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촌 인구 3명 중 1명이 70대
-60대 이상은 전체 농가의 62.4% 차지
-많은 정책 아이디어 있었지만 그 실천에는 아직 미흡 지적

[이모작뉴스 김경동 기자] 농촌의 고령화가 도시 지역에 비해 빠르게 심화되면서 또하나의 사회문제도 부각되고 있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농림어업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일 기준 농어촌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역대 가장 높은 46.8%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현상을 풍자하듯 이제는 50~60대가 농어촌 지역의 청년회장을 맡고, 경로당에서는 70세의 할머니 할아버지가 막내가 되어 심부름을 도맡아 해야 할 판이다.

(사진=뉴시스)
(지난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농림어업조사 결과. 그래프=뉴시스 제공)

통계에 따르면 전국 농가는 103만1천가구에 종사 인구는 221만5천명으로 전년 대비 각각 0.1%포인트, 0.2%포인트 하락했다. 고령화에 따라 농업 포기와 전업 등으로 전년보다 농가는 4천가구(0.4%), 농가 인구는 9만9천명(4.3%) 줄었다. 인구 분포를 보면 70세 이상이 전년보다 4만1천명 늘어난 72만명(32.5%),  60대 66만1천명(29.9%) 등 60세 이상이 138만1천명으로 전체 농가의 62.4%를 차지했다. 상대적으로 50대 이하 모든 연령에서는 감소추세가 이어졌다. 경영 형태별로 볼 때 논벼 농가는 감소했으나 귀촌 귀농 인구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채소, 산나물, 과수 농가는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모작뉴스)
(인천시 강화군의 한 농가에서 채소와 과수 등의 농작물을 재배하고 있는 모습. ⓒ이모작뉴스)

어가의 고령화도 이에 못지않다. 어가는 4만 3천 가구에 종사 인구는 9만 4천명, 54.3%가 겸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가는 주로 바다를 끼고 있는 전남 1만 6천 가구로 전체 어가의 36.7%를 차지했고, 뒤이어 경남, 충남 순으로 분포됐다. 양식업 어가는 1만 1천 가구로 8.6% 증가한 반면, 어선보유 어가는 전년 대비 0.6% 감소하면서 어로어업 어가 역시 2.2% 감소했다. 

임가는 10만 4천 가구에 21만 9천명이 종사하는 것으로 집계됐으며, 82.4%가 재배임업만 경영하는 가구인 것으로 조사됐다. 임가는 지역별로 볼 때 경북 2만 1천 가구, 경남 1만 5천 가구, 전남 1만 4천 가구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 품목으로는 산나물 29.6%, 떫은 감 26.8%, 관상작물 17.9%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통계는 저출산과 고령화의 늪으로 빠져가는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 잠재력을 크게 위축시킬 수 있어 중앙 정부와 지자체는 향후 20~30년을 내다보는 농어촌 노인복지 종합 대책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농어촌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현상은 청장년층의 이농, 핵가족화에 따른 자녀수의 감소, 평균 수명의 연장, 영농 후계 인력의 단절 등 여러가지 원인이 있다. 특히, 농어촌의 고령화로 생산성이 떨어지고 수익이 줄어들면서 문제가 심각해졌다. 그렇다고 정부가 젊은이들의 귀농정책을 펼치며 마구자비로 현금성 지원정책을 펼친다고해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 

(4차 산업혁명의 첨단 기술을 농촌에 적용하여 스마트팜을 실현한 모습. 출처=게티이미지뱅크)
(4차 산업혁명의 첨단 기술을 농촌에 적용하여 스마트팜을 실현한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4차 산업혁명이라는 큰 흐름 속에 농어촌도 적극적으로 변화의 흐름 속에 올라타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몇 년 전 강병석 남대전농업협동조합 조합장은 한 지방 일간지의 기고에서 4차 산업을 빨리 농업과 연계해 농촌 일손을 덜어 줘야한다고 주장했다. 가슴에 와 닿는 현장의 목소리다. 그는 또한 "우리 농협에서는 농가 소득 5000만 시대를 위해 각 농협 별 사업을 발굴하고 적극 추진 중에 있다. 이러한 정책을 단순히 농협에 맡길 것이 아니라 그 주도적인 역할을 정부에서 담당해 준다면 다양한 귀농정책을 펼칠 것이 아니라 고령농업인 지원 사업을 펼쳐야 한다"고 피력했다. 

과거 고령화 사회를 예측하고 그 동안 공동주책, 주거 및 의료, 생활 전반의 복지향상, 사랑의 집짓기, 집단 거주 유닛 설립 등에 관한 많은 정책 아이디어가 나왔지만 그것을 실천하는데 있어서 아직은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이모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