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사회 대비 '골다공증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 필요...대한골대사학회 정책토론회

김남기 기자
  • 입력 2022.06.03 11:0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골대사학회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은 26일 서울 광진구 그랜드워커힐 서울과 온라인을 통해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 도입과 3대 책임과제 추진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공동 개최했다. (사진= 대한골대사학회 제공)
(대한골대사학회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은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 도입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공동 개최. 사진= 대한골대사학회 제공)

[이모작뉴스 김남기 기자] 우리나라가 오는 2025년 국민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인 가운데 의료 전문가들이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을 위한 국가책임제' 도입을 촉구했다.

대한골대사학회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이 26일 서울 광진구 그랜드워커힐 서울과 온라인을 통해 공동 개최한 정책토론회에서 하용찬 대한골대사학회 이사장은 “신임정부 출범을 맞아 3년 앞으로 다가온 초고령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와 ‘3대 핵심 정책과제’를 제언드린다”고 전했다.

대한골대사학회가 제언한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 도입을 위한 3대 중점 과제는 ▲국가건강검진 골다공증 검사확대와 사후관리 강화 ▲치료환경 개선 ▲골다공증성 골절에 대한 국민인식 개선이다.

이날 대한골대사학회 소속 전문가 537명이 참여한 ‘2022 골다공증 치료·관리 정책 수립을 위한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응답자 10명 중 9명(87.7%)이 "골다공증 치료와 관리에 대한 정부 정책 지원이 충분하지 않다"고 답했다.

전문가들은 가장 시급한 정책 추진 사항으로 ‘최신 국제·국내 진료지침에 따른 골다공증 약제의 건강보험 급여 확대(85.7%)’를 꼽았다. 이어 ‘고혈압, 당뇨병 등과 같이 정부 만성질환 관리사업에 골다공증 포함(45.1%)’, ‘국가 골다공증 검사 기회 확대·사후관리 강화(38.0%)’, ‘대국민 골다공증 질환 인식 제고 및 교육(27.4%)’ 순이었다.

국가 차원의 골다공증 검사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정책으로는 ‘국가건강검진 내 골다공증 유소견자에 대한 적극적인 사후관리 강화(69.8%)’와 ‘국가건강검진 내 골밀도 검사 수치 제공(67.0%)’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대국민 골다공증 질환 인지 제고’를 위한 효과적인 정책 지원으로는 ‘질병관리청의 만성질환 캠페인 내 ‘골다공증 및 골절’ 질환 캠페인 사업 시행(76.2%)’이 꼽혔다.

대한골대사학회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은 26일 서울 광진구 그랜드워커힐 서울과 온라인을 통해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 도입과 3대 책임과제 추진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공동 개최했다. (사진= 대한골대사학회 제공)

이날 토론회에서는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 도입을 위해 국가건강검진 인프라를 활용한 골다공증 검사 효율화와 사후관리 강화에 힘써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하영 대한골대사학회 학술이사(울산의대 강릉아산병원 내분비내과)는 “건강검진기본법에 따라 국민의 건강위험 요인과 질병을 조기에 발견, 진단, 치료하고 사후관리가 될 수 있도록 골다공증 환자를 위한 국가건강검진 효과를 높여야 한다”며 “대선공약이었던 국가건강검진 골밀도검사 제도 개선에 있어 ‘골다공증 질환 교육, 골밀도검사 효율화, 골다공증 유질환자 사후관리 개선’을 통해 수혜자 중심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국가건강검진 결과를 제공할 때 골밀도 수치(T-score)·골밀도 검사 결과지 사본을 제공하고, 골다공증 유소견자를 대상으로 문자, 전화 등을 활용해 사후관리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 도입을 위한 과제로 골절을 예방할 수 있는 골다공증 약제 급여(보험적용)기준이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경민 대한골대사학회 역학이사(연세의대 용인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현재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한 주요 만성질환들 중 약물 투여기간에 급여 제한이 있는 질환은 골다공증이 유일하다"며 "어떤 만성질환도 약물치료 도중 혈압, 혈당 등의 수치가 조절된다고 해서 치료약제의 보험급여를 중단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골밀도 수치(T-Score) -2.5를 기준으로 투여기간을 제한하는 나라는 전 세계에서 한국이 유일하다"며 "국제 진료지침에 맞게 현행 골다공증 약제 투여기간 제한을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유미 대한골대사학회 총무이사(연세의대 신촌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는 이번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를 토대로 “골다공증 검사율과 치료율은 현재 여전히 낮은 편으로, 그 원인은 ‘자각증상이 없는’ 골다공증 질환 특성상 환자들이 뼈가 부러지기 전에 골절 위험과 골다공증 심각성을 모르는 데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가-학계-지역사회의 협업을 통해 골다공증 질환 인식 캠페인 사업을 전국 단위로 본격 추진해 국민들이 보다 자발적, 적극적으로 골밀도검사와 골다공증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강조했다.

특히 이 교수는 정부 주도의 국민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수년 간 질병관리청이 심근경색, 뇌졸중 같은 심뇌혈관 질환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인식 개선사업을 적극 추진한 결과 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 관리율이 높아졌다"면서 "질병관리청이 초고령사회 ‘골절 예방 및 골다공증 관리 컨트롤타워’가 돼달라"고 청했다.

이날 진행된 종합 패널토론에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이종성의원실(국민의힘) 성종호 보좌관은 “새 정부가 골다공증 치료환경 개선과 관리 강화에 성공하도록 국회가 힘을 보태겠다"고 약속했다.

박용표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관리실 부장은 “국가건강검진을 통해 골다공증이 효과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골밀도검사 결과 제공, 검진과 치료가 신속하게 연계되는 사후관리 방안 등을 추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최경호 보건복지부 보험약제과 사무관은 “진료지침에 따른 과학적인 진료와 치료가 가능하도록 적극 검토하고 노력하겠다”고 했다. 김우정 질병관리청 만성질환예방과 사무관은 “질병청의 만성질환 관리사업 경험과 체계를 토대로 골다공증 인식개선 사업 추진도 학계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하 이사장은 “토론회에서 나눈 구체적이고 풍부한 논의를 바탕으로 골다공증성 골절 예방 국가책임제가 추진되길 기대한다”고 정리했다.

 

저작권자 © 이모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