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에 만족 못하는 고령층’ 절반이 일한다

김남기 기자
  • 입력 2022.11.03 17:3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금 받는 고령자(55~79세) 중 일하는 사람 비중, 절반(49.7%)
2인 기준 공‧사적연금 월평균 수령액 138만원 vs. 은퇴 후 최소 생활비 216만원
고령자 10명 중 7명(68.5%), 장래(계속) 근로 원해…‘생활비 보태기 위함’(57.1%)
지난해 60세 이상 자영업자 10명 중 9명(87.2%), 나홀로 사장

1. ‘Bravo! 2019 고양시 중장년일자리박람회’ 고양꽃전시관에서 개최 (2)
‘Bravo! 2019 고양시 중장년일자리박람회’. 사진=고양시 제공 

[이모작뉴스 김남기 기자] 국민‧기초연금, 개인연금 등의 연금을 받는 고령자 중 일하는 고령인구는 370.3만명으로 절반 가까이 일손을 놓지 못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최근 5년간(’17~’22년) 통계청 데이터를 바탕으로 「55~79세 고령인구의 노후실태 및 취업현황」을 분석한 결과, ’22년 5월 기준 연금을 받으면서도 일을 놓지 못하는 55~79세 고령인구는 370.3만명으로, 5년 전(’17년 5월, 252.4만명)에 비해 46.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금을 받는 55~79세 고령인구 중 일하는 자의 비중은 절반(49.7%, ’22년 5월 기준)에 달했는데, 이는 ’17년 5월(43.8%) 대비 5.9%p 늘어난 수준이다.

’17~’22년 연금 받는 고령자(55~79세) 중 일하는 자 추이. 그래픽=전경련 제공
’17~’22년 연금 받는 고령자(55~79세) 중 일하는 자 추이. 그래픽=전경련 제공

이에 대해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 속도, 심각한 노인빈곤 문제 등으로 미래 세대의 노인부양 부담이 매우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노후소득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공적연금의 재정 지속가능성 확보, 세제혜택 강화 등 사적연금 활성화는 물론, 경직적인 노동규제 유연화, 세부담 완화 등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여 양질의 일자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2인 기준 공‧사적연금 월평균 수령액 138만원 vs. 은퇴 후 최소 생활비 월 216만원

’22년 5월 기준 국민‧기초연금, 개인연금 등을 모두 포함한 공‧사적 연금 월평균 수령액은 2인 기준 138만원으로, 지난해 말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조사한 ‘은퇴 후 최소 생활비’ 월 216만원의 약 64%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계청 고령층부가조사에 따르면, 55~79세 고령인구 10명 중 7명(68.5%)은 장래에도 근로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이유로 ‘생활비에 보탬’이라는 응답 비중이 절반(57.1%)을 넘어 가장 높았다.

생계 위해 자영업에 뛰어든 노인들… 지난해 60세 이상 자영업자 10명 중 9명(87.2%) ‘나홀로 사장’

은퇴 이후 재취업이 안 되는 고령자들은 생계를 이어가기 위해 창업 전선에 뛰어든 것으로 보인다. 최근 5년간(’17~’21년) 15세 이상 전체 자영업자 수는 ’17년 573.3만명에서 ’21년 555.0만명으로 3.2% 감소한 반면, 60세 이상 자영업자는 159.2만명에서 193.3만명으로 21.4%나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60세 이상 자영업자 10명 중 9명(87.2%)은 고용원이 없는 ‘나홀로’ 자영업자인 것으로 밝혀졌다. 60세 이상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7년 137.1만명에서 ’21년 168.5만명으로 22.9% 늘었는데, 이는 전체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증가율(2.3%, ’17년 415.3만명 → ’21년 424.9만명)의 약 10배에 달하는 수준이었다.

대다수의 고령 자영업자들이 부족한 창업자금을 가지고 철저한 시장 조사 없이 급박하게 사업을 시작했고, 무한 경쟁의 자영업 시장에서 최저임금 수준도 벌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비임금근로 부가조사에 따르면, ’21년 8월 기준 1년 이내 사업을 시작한 60세 이상 자영업자 10명 중 4명(43.0%)은 ‘5백만원 미만’으로 창업했고, 64.5%는 창업 준비기간이 ‘1~3개월 미만’이었다. ’19년 기준 월평균 영업이익이 최저임금(주40시간 기준 174.5만원)보다 낮은 소상공인 비중을 살펴보면, ‣60세 이상(53.6%), ‣50대(37.3%), ‣40대(36.8%), ‣30대(34.6%), ‣20대(34.3%) 순이었다.

40여 년 뒤 생산가능인구 1명당 노인 1명꼴 부양… OECD 평균(0.5명)의 2배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고령인구의 비율을 뜻하는 노년부양비를 보면, 한국은 ’22년 기준 24.6%로 OECD 평균(28.1%)을 밑돌았지만, ’26년 들어 OECD 평균(30.7%)을 역전하여 40여 년 뒤인 ’60년에는 OECD 평균(45.2%)의 2배 수준인 90.4%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저작권자 © 이모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