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니어를 위한 비대면 의료·돌봄, 금융서비스 정책 발표

김남기 기자
  • 입력 2020.08.27 14:06
  • 수정 2020.08.27 15:0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제33차 경제관계장관회의 발언. 사진=뉴시스 제공)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제33차 경제관계장관회의 발언. 사진=뉴시스 제공)

[이모작뉴스 김남기 기자] 한국은 기대수명 증가와 저출산 가속화로 ‘25년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된다.

정부가 급속한 고령인구 증가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비대면 의료시범사업을 확대하고, 원격으로 응급상황에 대처하는 비대면 돌봄서비스 개발에 나선다. 자가진단과 치료가 가능한 신약과 의료기기 개발도 적극 지원한다.

디지털 금융 확산으로 노인들에게 높아진 은행 문턱을 낮추기 위해 고령 친화적 금융환경을 조성하고,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고 예방을 위한 '노인금융피해방지법' 제정도 추진한다.

정부는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15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인구구조 변화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거동이 불편한 노인과 장애인 등 건강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비대면 의료 시범사업을 확대해 사물인터넷(IoT)·인공지능(AI)을 활용한 통합 돌봄과 모바일 앱을 통한 보건 전문의의 맞춤형 건강 상담을 제공한다.

집에서 손쉽게 건강상태를 진단하고, 자가 치료가 가능하도록 소형 심전도·혈당 측정기나 약물투여시간 알람 등 신약·의료기기 신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노인 정서 안정과 응급상황에 대응하고 재활에 도움을 주는 반려·재활로봇 700대를 올해 안으로 보급한다. 홀로 사는 노인 가정에 태블릿PC와 센서를 설치해 수면·외출·심박·호흡 등의 정보를 수집, 응급안전안심서비스를 제공하는 비대면 돌봄서비스도 내년까지 개발한다.

저소득 고령자 거주 주택의 주거환경 개선 사업은 계속한다. 공공 뿐 아니라 민간 건물에도 장애인·노인 등이 이용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설계·시공하고 인증하는 'BF(Barrier Free) 인증'을 의무화할 계획이다.

노인들의 안전하고 균형 잡힌 식생활을 위해 밀키트 형식의 가정간편식 등 고령친화식품도 개발한다. 관련 산업이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해 고령친화산업제품에 고령친화 우수식품을 추가 지정할 방침이다.

정부 지원도 확대해 의약·의료기기·디지털헬스케어·바이오 분야 등 유망 중소기업에 정책자금을 우선 지원하고, 고령친화기업에는 기술사업화와 마케팅, 판로개척 등을 돕기로 했다.

정부는 디지털 금융이 빠르게 확산하는 등 금융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어르신들이 금융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고령친화적 금융환경 조성에도 힘을 쏟는다.

노인을 위한 맞춤형 금융상품도 개발해 공급한다. 온라인 특판 상품과 동일하게 고령층을 위한 대면 거래 상품을 출시하고, 주택연금 가입자가 치매보험에 가입하면 보험료를 할인해주는 연계상품도 상품화한다.

기대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그 동안 보험사들이 65세 전후로 가입을 제한했던 상해보험 가입연령도 70세 안팎까지 상향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정부는 미국의 고령자보호법 등 해외사례를 참고해 노인들의 금융착취 뿐 아니라 금융기관의 불완전판매, 차별금지 등을 포괄하는 가칭 '노인금융피해방지법' 제정도 추진한다.

평균수명의 향상, 액티브 시니어 등장 등으로 인해 사회중심이 고령자로 이동하는 사회적 변화 추세에 맞추어, 산업·금융·제도를 재설계하는 것이 전략의 주요 내용이다.

저작권자 © 이모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